Eco Life & Bioteco

biology and technology in MY LIFE

생물사진

more

각시얼룩가지나방(Abraxas niphonibia)_2023.08.26.

충청북도 제천에서만난각시얼룩가지나방Abraxas niphonibia 충청북도 제천에서 만난 각시얼룩가지나방(Abraxas niphonibia)의 모습이다.등화채집 스크린 뒤쪽의 식물을 붙잡고 있었다.등면의 무늬가 인상적이다. 자나방과(Geometridae)의 나방으로 6~8월에 출현하는 흔한 종으로 알려져 있다.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서관찰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녀석이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어서 같은 사진으로 보이지만 각기 다른 사진들이다.. ^^;얌전히 포즈를 잘 잡아준 각시얼룩가지나방이다.

2023 2025.05.22 0

도토리밤바구미(Curculio dentipes)_2023.08.26.

충청북도 제천에서만난도토리밤바구미Curculio dentipes 충청북도 제천에서 만난 도토리밤바구미(Curculio dentipes)의 모습이다.등화채집을 통해 개체를 확인했다.최근 바구미에 관한 다큐를 보고 이녁석이 생각나서 글을 작성한다. 다큐에서 산란을 하고 나뭇가지를 자르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바구미 종류도 다양하던데, 다양한 녀석들을 만나보고 싶어졌다.기회가 된다면 2025년에 등화조사를 진행해보고 싶다.

2023 2025.05.21 0

수리부엉이(Bubo bubo)_2023.12.11.

전라도에서만난수리부엉이Bubo bubo 전라도에서 만난 수리부엉이(Bubo bubo)의 모습이다.절벽의 나무위에서 웃는 듯한 표정으로 잠을 자고 있다.해가 뉘역뉘역 지고 있는 시간이라 곧 움직을 것으로 생각되어 조금 기다려 보기로 한다. 얼마나 기다렸을까 힘차게 날아오르는 수리부엉이의 모습이다.개인적으로 맹금류를 좋아해서 건진 사진은 2장뿐 이지만 성과있는 기다림이었다.강원도권에서 만났을 때에는 정말 멀리서 관찰했었는데, 운 좋게 가까이에서 녀석을 만나볼 수 있었다.

2023 2025.05.20 1

황로(Bubulcus ibis)_2024.06.11.

전라남도에서만난황로Bubulcus ibis  전라남도에서 만난 황로의 모습이다.모내기를 하기 위해 물을 받아 놓은 논에서 관찰하였다.  바로 옆 논에서 관찰한 황로의 모습이다.인근에서 총 3개체의 황로를 관찰하였다.  논 둑에 있는 작은 곤충을 따라가는건지, 사냥을 하는 모습이 확인되었다.사냥을 성공해서 무언가를 잡아먹긴 했지만, 등을 지고 있어서 관찰이 어려웠다.  사냥을 마치고 먼산을 바라보는 황로의 모습이다.촬영 당시보다 4개월이 흐른 지금, 벼를 수확하고 있다... ^^

2024 2024.10.09 2

인기 글

[Qgis]Qgis에서 폴리곤(polygon) 벡터 자르는 방법

오랜만에 Qgis에 관련된 포스팅을 작성하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 이런저런 바쁜일들이 많았다.. 이번 포스팅은 Qgis에서 폴리곤 벡터를 자르는 방법에 관한 내용을 작성하고자 한다. 먼저 벡터를 자르기 위해 폴리곤 벡터를 준비해 준다. (위성영상 사진은 필요 없다.) 기본적으로 폴리곤 편집모트 켜고 끄기는 아실 것이라고 생각한다. 모르시는 분들이라면.. 왼쪽하단 레이어에 수정하고자 하는 벡터를 선택하고 위쪽의 연필 모양의 편집모두 켜고 끄기를 눌러주면 된다. 편집모드가 활성화 되면 아래쪽의 편집도구들이 활성화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러 편집도구들 중에서 피처 분할이라는 탭을 선택하면, 작업창에 보이는 마우스 포인트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자르고자 하는 폴리곤의 위치를 파악한다. 필자는 위..

Qgis 2022.06.23 5

[Qgis]Qgis에서 구글(google) 등 다양한 배경지도 추가하는 방법

2023년 첫 포스팅이다. 올해도 많은 분들이 내 블로그를 보고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https://fishingbass.tistory.com/29 [Qgis]웹(web)지도와 벡터파일 좌표계 맞추는 방법 몇일전 어떤 분이 문의를 했던내용이다. 카카오맵에 좌표계가 가지고 있는 벡터파일과 좌표계가 맞지 않아 불어오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문의주셨다. 무료로 공개된 웹 지도를 불러올수 있는 fishingbass.tistory.com 예전 포스팅에서 우리나라 웹 지도를 쉽게 불러올 수 있는 플러그인을 소개했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보다 다양한 지도 자료를 이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예전 포스팅에서 소개했던 플러그인이다. kakao와 naver, vWorld에서 제공하는 위성 배경지도와..

Qgis 2023.01.18 0

최신 글

more

각시얼룩가지나방(Abraxas niphonibia)_2023.08.26.

충청북도 제천에서만난각시얼룩가지나방Abraxas niphonibia 충청북도 제천에서 만난 각시얼룩가지나방(Abraxas niphonibia)의 모습이다.등화채집 스크린 뒤쪽의 식물을 붙잡고 있었다.등면의 무늬가 인상적이다. 자나방과(Geometridae)의 나방으로 6~8월에 출현하는 흔한 종으로 알려져 있다.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서관찰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녀석이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어서 같은 사진으로 보이지만 각기 다른 사진들이다.. ^^;얌전히 포즈를 잘 잡아준 각시얼룩가지나방이다.

2023 2025.05.22 0

도토리밤바구미(Curculio dentipes)_2023.08.26.

충청북도 제천에서만난도토리밤바구미Curculio dentipes 충청북도 제천에서 만난 도토리밤바구미(Curculio dentipes)의 모습이다.등화채집을 통해 개체를 확인했다.최근 바구미에 관한 다큐를 보고 이녁석이 생각나서 글을 작성한다. 다큐에서 산란을 하고 나뭇가지를 자르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바구미 종류도 다양하던데, 다양한 녀석들을 만나보고 싶어졌다.기회가 된다면 2025년에 등화조사를 진행해보고 싶다.

2023 2025.05.21 0

수리부엉이(Bubo bubo)_2023.12.11.

전라도에서만난수리부엉이Bubo bubo 전라도에서 만난 수리부엉이(Bubo bubo)의 모습이다.절벽의 나무위에서 웃는 듯한 표정으로 잠을 자고 있다.해가 뉘역뉘역 지고 있는 시간이라 곧 움직을 것으로 생각되어 조금 기다려 보기로 한다. 얼마나 기다렸을까 힘차게 날아오르는 수리부엉이의 모습이다.개인적으로 맹금류를 좋아해서 건진 사진은 2장뿐 이지만 성과있는 기다림이었다.강원도권에서 만났을 때에는 정말 멀리서 관찰했었는데, 운 좋게 가까이에서 녀석을 만나볼 수 있었다.

2023 2025.05.20 1

황로(Bubulcus ibis)_2024.06.11.

전라남도에서만난황로Bubulcus ibis  전라남도에서 만난 황로의 모습이다.모내기를 하기 위해 물을 받아 놓은 논에서 관찰하였다.  바로 옆 논에서 관찰한 황로의 모습이다.인근에서 총 3개체의 황로를 관찰하였다.  논 둑에 있는 작은 곤충을 따라가는건지, 사냥을 하는 모습이 확인되었다.사냥을 성공해서 무언가를 잡아먹긴 했지만, 등을 지고 있어서 관찰이 어려웠다.  사냥을 마치고 먼산을 바라보는 황로의 모습이다.촬영 당시보다 4개월이 흐른 지금, 벼를 수확하고 있다... ^^

2024 2024.10.09 2

검은댕기해오라기(Butorides striata)_2024.06.11.

전라남도에서만난검은댕기해오라기Butorides striata  전라도에서 만난 검은댕기해오라기의 모습이다.해수와 담수가 만나는 기수역 지점에서 관찰하였다.  한동안 경계를 하더니 사냥을 준비하는 모습이다.눈빛이 날카롭게 변한다.  돌에 붙어 있던 짱뚱어 한마리를 사냥하는데 성공한다.아쉽게도 사냥하는 모습을 촬영하는데 흔들려서 제대로 촬영하지 못했다.  짱뚱어 한마리를 사냥하더니 만족스러운 표정을 짓는다.바로 뒤에 돌에 한개체가 더 있었다.2022년도에는 담수에서 관찰했었는데, 이번에는 기수에서 기록한다.https://fishingbass.tistory.com/85 검은댕기해오라기(Butorides striata)_2022.04.18.경상북도 예천에서 만난 검은댕기해오라기 Butorides striata ..

2024 2024.10.09 1